전기공사기사
-전기공사기사는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시공자를 대리하여 전기계기, 장비, 시설, 부품, 제품 및 상업, 산업 및 가정용 전기시스템, 철도신호 전기설비 등의 전기공사를 현장감독하는 자격이며, 동시에 발주자에 대해서는 시공자를 대신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공사기사는 전기공사비의 적산, 공사공정계획 수립, 시공과정에서 전기의 적정여부 관리 등 주로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전기관련 연구와 프로젝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한편, 설치와 작동이 고객이 제시한 조건과 기준에 맞도록 기술도면, 전기시스템 설계도 및 세부지도 등을 작성하기도 한다.
응시자격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졸업자 |
비관련학과 졸업자 |
순수 경력자 |
-동일분야 기사 -산업기사 + 1년 -기능사 + 3년 -동일종목외 외국자격취득자 |
-대졸 -3년제 전문대졸 + 1년 -2년제 전무대졸 + 2년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2년 |
폐지 |
-4년 |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
실기시험 |
전기설비 견적 및 시공 |
필답형 |
합격률
필기
연도 |
응시 |
합격 |
합격률(%) |
2016 |
9407 |
3383 |
36% |
2015 |
8969 |
2781 |
31% |
실기
연도 |
응시 |
합격 |
합격률(%) |
2016 |
4357 |
1920 |
44.1% |
2015 |
4680 |
1505 |
33.2% |
단답형 핵심요약 정리
#전선의 약호
-DV: 인입용 비닐절연 전선
-MI: 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ACSR: 강심 알루미늄 연선
-EV: 폴리에틸렌 절연 비늘 시스케이블
-OW: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A-AL: 연알루미늄선
#연전력계전기
-병행 2회선 계통에서 고장회선을 선택차단 하기 위하여 사용
#역상계전기
-회전기기에서 상회전이 바뀐 경우 역회전을 방지하며 불평형전류로 인한 과열을 막기 위하여 사용
#교류과전류계전기
-발전기의 과부하보호와 외부사고가 제거 안되었을 때의 후비보호로 사고전류와 부하전류를 구별하는데 사용
#전압평형계전기
-2회로의 전압으로 동작, 콘덴서 고장검출이나 PT 고장검출에 사용
#비율차동계전기
-기기의 내부 고장검출용으로 사용
#한류저항기의 설치목적 3가지
-계전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유효전류를 발생
-오픈델타 회로의 각 상전압 중의 제3고조파 억제
-중성점 불안정 등 비접지 회로의 이상현상 억제
#정부나 공공 기판에서 발주하는 전기 공사의 물량 산출시 일반적으로 옥내전선 할증률과 옥외 전선 할증률 및 옥외전선 철거손실률은 얼마로 계산하는지 각각 쓰시오.
-옥외전선 할증률 : 5%
-옥내전선 할증률: 10%
-옥외전선 철거손실률: 2.5%
#배전용 변전소의 필요 개소에 접지공사를 하였다. 이에 따른 접지목적 3가지
-감전방지
-이상전압의 억제
-보호계전기의 동작 확보
#접지의 목적
-계통접지: 고압전로와 저압전로가 혼촉 되었을 때 감전이나 화재방지
-기기접지: 누전되고 있는 기기에 접촉 시 감전방지
-지락 검출용 접지: 누전차단기의 동작을 확실하게 하기 위함
-정전기 접지: 정전기의 축적에 의한 폭발 재해 방지
-등전위 접지: 병원에 있어서 의료기기 사용 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
#송전 계통의 변압기 중성점 접지방식 4종류를 쓰시오.
-비접지 방식, 직접 접지 방식, 저항 접지 방식,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
#배전용 변전소에서 제1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할 중요 5개소
-피뢰기
-옥내 또는 지상에 시설하는 특고압 또는 고압기기 외함
-주상에 설치하는 3상 4선식 접지계통의 변압기 및 기기 외함
-송전선과 교차, 접근할 경우에 시설하는 보호망
-철주, 철탑, 강관주
#접지선을 사용하여 접지를 하여야 할 개소를 5개소만 쓰시오.
-일반기기 및 제어반의 외함
-피뢰기 및 피뢰침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다선식 전로의 중성선
-케이블의 차폐선
#계장공사의 접지공사에서 신호선 한 쪽을 접지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시스템 접지
#노이즈 방지용 접지란
-어떤 전자장치의 노이즈 발생 또는 기타 발생원인 으로 부터 또 다른 전자장치의 오동작, 통신장에 기타 다른 기기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접지.
즉, 노이즈 방지용 접지란 에너지를 대지로 방출하기 위한 접지를 말한다.
#접지저항 저감대의 시공방법 5가지
-타입법, 보링법, 수반법, 구법, 체류조법
#1종 접지공사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
-전극식 온천 승온기 차폐장치의 전극
-고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
-고압용 금속제 케이블트레이 계통의 금속 트레이
-고압의 표피전류가 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연관
-특고압 가공전선이 가공 약전류 전선 등과 접는 또는 교차시의 보호만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 를 넘는 방전등
#2종 접지공사
-고압전로 또는 특고압전로와 비접지식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로 고압권선과 저압권선 사이에 설치하는 금속제의 혼촉 방지판
-다심형 전선을 사용하는 경우 중심선 또는 접치측 전선용으로서 절연물로 피복하지 아니한 도체
#3종 접지공사
-고압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
-네온 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금속제 부분
-엑스선 발생장치의 변압기 및 콘덴서의 금속제 외함
-엑스선관 도선의 노출하는 충전부분에 1m 이내로 접근하는 금속제
-400v 미만의 접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또는 금속제 외함
#특별 3종 접지공사
-풀장용 수중 소명등에 사용하는 자동 차단 장치 등을 넣는 금속제의 외함
-400v 이상 금속관 배선에 사용하는 관
-400v 이상의 금속제 가요전선관 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 가요전선관
-400v 이상의 금속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긴선 작업 후 전선의 높이를 미세 조정하는 기구
-이도조정금구
#전력선의 이도를 결정하는 요소 4가지
-경간, 장력, 하중, 안전율
#가공송전선로에서 이도 설계 시 전선에 가해지는 하중의 종류 3가지
-전선의 자중 , 풍압 하중, 빙설 하중
#강심 알루미늄선을 접속시키는데 사용하는 자재
-알루미늄선용 압축 슬리브
'알아두면 쓸때있는 신기한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에 좋은음식 (0) | 2019.05.16 |
---|---|
품질경영기사 (후기, 정보, 핵심요약) (0) | 2019.05.16 |
전기기사(정보, 단답형 핵심요약) (0) | 2019.05.15 |
헨리 제임스의 진짜 ( The Real Thing by Henry James ) (0) | 2019.05.15 |
사무자동화산업기사(후기, 핵심요약) (0) | 2019.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