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때있는 신기한 잡학사전684 하수오의 효능 및 부작용 하수오는 덩굴 식물로 우리나라 여기저기에 자생합니다. 하수오는 두가지로 나뉘는데 백하수오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며 적수호는 마디풀과에 속합니다. 두가지 식물 모두 자양강장제로 사용되는데 그맛은 쓰면서 떫은 맛을 냅니다. 잘 씹어 보면 밤맛, 고구마맛, 배추뿌리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수오는 예로부터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며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해주며 병없이 장수하게 만드는 약초로 이름이 높습니다. 중국에서는 하수오를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에는 하수오를 황해도와 강원도에서 자란다고 하며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떫다. 염증을 삭이고 담을 없앤다. 갖가지 치질, 증기, 만성피로로 몸이 마르는 것, 부인의 산후병, 대하 등을 치료해주며 기와 혈을 .. 2019. 9. 10. 대추차의 효능 및 부작용 중국에서는 대추를 자두, 복숭아, 살구, 밤 등 오장을 튼튼하게 해주는 중요한 과일로 오과라고 불렀다고 할 정도로 그 효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대추를 하루에 세알 먹으면 늙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또한 우리 나라에서는 대추를 보고 먹지 않으면 늙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추가 몸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대추가 한방에서 처방되고 있는 생약의 하나로 우리 몸에 이로울 것이다라고 생각은 했지만 어떤 효능이 있는지는 잘 모르고 있었 습니다. 대추에는 칼륨, 철분, 마그네슘 등 영양소가 풍부한데 자두와 비교해보면 1.5배이상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대추의 효능 1.빈혈개선 대추에는 철분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여성분들의 고민인 냉증과 빈혈을 개선해주는데 도움.. 2019. 9. 10. 모과차의 효능 및 부작용 모과는 생과로 먹기 보다는 차를 끓여 먹습니다. 모과는 모과나무의 열매로 참외와 닮은 모양을 하는데 열매가 나무에 달려서 목과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모과는 그 향이 강해서 예전에 차량의 방향제로도 많이 사용 했었습니다. 모과는 과일이지만 생식으로는 적당하지 않아서 주로 과육을 꿀에 재어 정과를 만들거나 과실주 모과차의 형태로 접하게 됩니다. 모과의 효능 1.소화능력향상 보통 식중독은 여름에 많이 발생하지만 겨울철에도 식중독에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모과차가 효과가 있는데 바로 모과에 함유되어 있는 사과산, 유기산이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해주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어 속을 다스려 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 입니다. 또한 설사를 자주 하시는 분들이 모과를 드시면 속이 편안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 2019. 9. 10. 탱자의 효능 및 부작용 오래전부터 한방 약재로 귀하게 여겨온 탱자는 피부 진정효과가 있어서 가려움증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일반 피부염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성 피부염, 염증 치료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약재입니다. 차가운 성질을 가지는 탱자는 독이 없고 매운맛, 쓴맛, 신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가려움증이 심한 피부를 낫게 해주며 복부 팽만감을 유발시키는 창만과 명치 밑이 답답하고 통증을 느끼는 것을 낫게 해주며 식체를 삭힌다 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탱자를 울타리나무로 많이 활용하였습니다. 탱자나무에는 뾰족한 가시가 있으며 나무가 크기 때문에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어르신들은 탱자를 이용하여 즙을 내어 많이 먹기도 하였습니다. 탱자나무의 열매는 9~10월에 익는.. 2019. 9. 9. 이전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71 다음